영화 정보
- 감독: 피터 패럴리
- 출연: 비고 모텐슨(토니 발레롱가 역), 마허샬라 알리(돈 셜리 역), 린다 카델리니(돌로레스 발레롱가 역)
- 개봉: 2018년
- 장르: 드라마, 코미디, 실화 기반
세상이 만들어 놓은 경계선은 생각보다 강고하다.
하지만 사람과 사람이 만나 서로를 이해하게 되는 순간,
그 경계선은 무너질 수 있다.
‘그린 북’은 1960년대 미국 남부를 배경으로,
백인 운전사와 흑인 피아니스트의 여행을 통해
서로에 대한 편견을 깨고
진정한 우정을 쌓아가는 과정을 그린 영화다.
줄거리 – 다름을 넘어선 두 사람의 여정
1962년, 뉴욕.
이탈리아계 미국인 **토니 발레롱가(비고 모텐슨)**는
언변이 능하고 주먹도 거친 바운서 출신이다.
그는 생계를 위해 닥치는 대로 일하며 살아간다.
어느 날, 유명한 흑인 재즈 피아니스트 **돈 셜리(마허샬라 알리)**의
운전사가 되어 미국 남부 투어를 함께 하게 된다.
남부는 당시 인종차별이 극심했던 지역.
돈 셜리는 백인들 앞에서 연주하지만,
그들과 같은 식당이나 호텔을 이용할 수 없는 현실에 처해 있다.
두 사람은 함께 길을 떠나지만,
그들의 성격과 가치관은 정반대다.
토니는 거칠고 무례하며, 흑인에 대한 편견도 가지고 있다.
반면 돈 셜리는 고상하고 점잖으며,
토니의 거친 방식이 불편하다.
하지만 여행이 길어질수록
그들은 서로를 조금씩 이해하기 시작한다.
토니는 돈 셜리가 얼마나 차별에 맞서 싸우며 살아왔는지 깨닫고,
돈 셜리는 토니의 인간적인 따뜻함을 발견하게 된다.
그들의 여정은 단순한 ‘고용인과 고용주’의 관계가 아닌,
서로를 진정으로 이해하는 우정의 여정으로 변화해 간다.
편견과 이해 – 진정한 변화는 관계에서 시작된다
이 영화가 특별한 이유는
흑백 갈등을 단순히 선악 구도로 그리지 않는다는 점이다.
토니는 처음에는 인종차별적인 태도를 보이지만,
그것은 무지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여행을 하면서 그는 돈 셜리의 현실을 직접 보고 경험하며
자신의 편견을 깨뜨리기 시작한다.
돈 셜리 역시 마찬가지다.
그는 토니를 단순한 거친 운전사로 생각했지만,
시간이 지나며 그가 가진 따뜻함과
진실한 면모를 발견하게 된다.
이 영화는 “차별은 나쁜 것이다”라고 단순히 말하는 것이 아니라,
어떻게 사람들의 마음이 열리고 변화하는지를
자연스럽게 보여준다.
비하인드 스토리 – 실화를 바탕으로 한 감동적인 이야기
- 실제 토니 발레롱가와 돈 셜리의 여정
이 영화는 실화를 바탕으로 한다.
실제 토니 발레롱가는 돈 셜리의 운전사로 일하며
그와 깊은 우정을 쌓았고,
이후 두 사람은 평생 친구로 남았다. - 제목 ‘그린 북’의 의미
영화 제목인 *‘그린 북’*은
당시 흑인들이 여행할 때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는
식당과 숙박업소를 안내한 실제 책자의 이름이다.
이 책은 인종차별이 극심했던 남부에서
흑인 여행자들에게 필수적인 정보였다. - 아카데미 수상작
‘그린 북’은 2019년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작품상, 각본상, 남우조연상(마허샬라 알리)**을 수상하며
작품성을 인정받았다.
결론 – 변화는 작은 이해에서 시작된다
‘그린 북’은 단순한 인종차별 영화가 아니다.
이 영화는 서로 다른 두 사람이 만나
서로를 이해하는 과정을 통해
진정한 변화를 경험하는 이야기다.
편견을 없애는 것은 거창한 선언이 아니다.
때로는 누군가와 함께 시간을 보내고,
그들의 현실을 직접 보고 듣는 것이
가장 강력한 변화의 시작이 된다.
영화가 끝난 후,
우리는 다시 한번 생각하게 된다.
진정한 우정이란 무엇인가?
그리고, 우리가 가진 편견을 깨뜨리려면
어떤 경험과 이해가 필요한가?
‘그린 북’은 그 질문을 우리에게 던지며
따뜻한 감동을 남기는 작품이다.
댓글